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경제학공부

한 번에 이해하는 은행, 은행은 어떻게 돌아가는가?

by qwerzxcv02 2024. 1. 26.
반응형

누구나 은행 계좌가 있고 입금, 출금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은행은 돈을 보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아주 고마운 존재입니다. 돈을 안전하게 지켜주면서 이자까지 주기 때문입니다. 겉으로 보기에 은행이 자선사업과 같이 느껴지지만 사실 은행도 돈을 버는 기업입니다.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까요? 그리고 은행은 어떤 시스템으로 운영될까요?

 

은행이 돈을 버는 방법

은행은 우리가 예금한 돈을 다시 다른 개인과 기업에게 빌려줍니다. 그리고 빌려주는 대가로 이자를 받는데 이떄 사용되는 금리를 '대출금리'라고 합니다. 대출금리는 예금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은행은 이 차익을 이용하여 돈을 벌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대출금리-예금금리를 '예대마진' 이라고 합니다.

 

예금금리가 3%, 대출금리가 5%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예를들어 A가 은행에 100만원을 저축 하였습니다. 은행은 대출금리를 5%로 하여 B에게 100만원을 빌려줍니다. 이후 은행은 B에게 105만원을 받게되고, A는 출금할 때 103만원을 얻게됩니다. 이때 은행이 2만원을 버는 것 입니다.

 

 

은행의 파산?

앞의 예시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A는 은행에 100만원을 저축하였고 은행은 이를 B에게 빌려주었습니다. 그리고 얼마지나지 않아 A가 은행에 돈을 다시 돌려달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은행은 돌려줄 돈이 없어 곤란한 상황이 됩니다.

물론 실제 은행은 수많은 사람의 돈을 보관하고 있기에 다른 사람이 저축한 돈을 주면 됩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많은 사람이 동시에 돈을 찾는다면 은행은 운영이 어려워 질것입니다. 이를 '뱅크런'이라고합니다. 

세계 대공황때 많은 은행들이 뱅크런으로 몰락하였으며, 2008년 금융위기에도 대규모의 뱅크런의 위험이 있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1년 부산저축은행의 뱅크런 사태로 많은 사람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렇기에 은행은 사람들이 돈을 찾을 때를 대비하여 일부 돈을 남겨두어야 합니다. 이 돈을 '자기자본'이라고 합니다. 자기자본이 많을수록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기자본비율을 결정하는 기관은 국제결정은행(BIS)입니다. 따라서 자기자본비율을 BIS비율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은행에는 BIS비율만큼 돈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BIS는 8% 이상 자기자본을 가지고 있도록 하고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위기 등으로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한번에 돈을 찾게되어 BIS비율 이상의 돈이 필요하다면 앞서소개한 뱅크런이 발생하게됩니다.  

반응형